2021-08-20 오늘의 경제
▣ 미국(08/19)
◎ DOW : 34,894.12 ▼66.57 (-0.19%)
◎ S&P500 : 4,405.80 ▲5.53 (+0.13%)
◎ NASDAQ : 14,541.79 ▲15.78 (+0.11%)
* 미국 증시는 기업실적 호조에도 테이퍼링 전망과 델타 변이 확산에 시선이 집중되면서 조정받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 전문가들은 11월에 테이퍼링을 시작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 하락폭을 줄이고 소폭 상승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11월에 테이퍼링을 예상하면서 상승을 보일 것으로 생각이 되긴하나 그 폭이 작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혹은 차익실현을 더 보일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유럽(08/20 18:00 기준)
◎ 독일 DAX30 : 15,711.06 ▼54.75 (-0.35%)
◎ 영국 FTSE100 : 7,049.24 ▼9.62 (-0.14%)
◎ 프랑스 CAC40 : 6,590.09 ▼15.80 (-0.24%)
◎ Euro STOXX 50 : 4,122.14 ▼2.57 (-0.06%)
* 유럽 증시는 미국 테이퍼링 우려에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 연준 인사 발언에 대한 경계심리와 테이퍼링을 의식한 원자재 하락에 증시가 하락하였습니다.
▶ 하락폭을 줄이고있습니다. 테이퍼링에 의해 하락하였기에 미 증시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아시아
◎ 중국 상해종합 3,427.33 ▼38.22 (-1.10%)
◎ 홍콩 항셍 24,849.72 ▼466.61 (-1.84%)
◎ 일본 니케이225 27,013.25 ▼267.92 (-0.87%)
◎ 대만 가권 16,341.94 ▼33.46 (-0.20%)
◎ 인도 SENSEX 55,410.54 ▼218.95 (-0.39%)
* 중국 증시는 개인정보보호법이 통과되면서 규제 우려가 커졌고 이에 하락하였습니다. 테이퍼링도 한몫하였습니다.
* 일본 증시는 테이퍼링과 델타변이 확산에 대한 경계심에 하락하였습니다.
▶ 중국은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매력도가 조금씩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당장은 출렁일 것이지만 먼날 이야기 이지만 이런 것이 쌓여 나간다면 다른 개도국이 폭풍 성장한다면 특히 인도 같은 나라에서 제대로 성장하기 시작한다면 매력도는 감소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본은 미국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에서 당장은 상승을 보일 가능성이 있기에 다시금 상승할 여지는 있다고 생각됩니다.
▣ 한국
◎ KOSPI 3,060.51 ▼37.32 (-1.20%)
◎ KOSDAQ 967.90 ▼23.25 (-2.35%)
* 코스피는 미 증시 혼조세와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와 유동성 축소 우려 중국 증시 하락 이 영향으로 하락하였습니다. 개인이 2714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이 2581억, 146억 순매도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의료정밀, 비금속, 통신업, 철강금속 순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삼성SDI, 현대차, 셀트리온, 기아 하락, 삼성바이오로직스, LG화학 상승, SK하이닉스 보합으로 마무리 하였습니다.
* 코스닥은 중국 증시 낙폭 확대의 영향으로 하락하였습니다. 기관과 개인이 169억, 467억 순매수, 외국인이 626억 순매도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소프트웨어, 화학, 음식료담배, 오락문화 순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셀트리온헬스케어, 엘앤에프, 씨젠, CJENM 하락, 에코프로비엠, 셀트리온제약, 카카오게임즈, 펄어비스, 에이치엘비, SK머티리얼즈는 상승하였습니다.
▶ 다른 주변나라보다 하락폭이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규제가 많아지면서 상황이 안좋기도하고 미국도 테이퍼링을 의식하면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다만 미 증시가 안정세에 들어가 다시 상승할 여지가 있어 다시금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환율(08/20 19:00기준)
◎ 미국 KRW/USD 1,183.69 ▲7.41 (+0.63%)
◎ 유럽 연합 EUR/USD 1.1676 ▲0.002 (+0.02%)
◎ 영국 GBP/USD 1.3617 ▼0.0021 (-0.15%)
◎ 중국 USD/CNY 6.4980 ▲0.0038 (+0.06%)
◎ 일본 USD/JPY 109.63 ▼0.09 (-0.09%)
◎ 브라질 USD/BRL 5.4155 ▲0.0361 (+0.67%)
◎ 달러인덱스 93.65 ▲0.08 (+0.09%)
* 달러화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상승하였습니다.
* 안전 통화인 엔화는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였고, 연준이 테이퍼링에 나설 것이란 관측으로 유로화는 하락하였습니다.
* 골드만삭스는 미 경제 성장률을 6.4에서 6.0으로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 당분간 테이퍼링의 여파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생각됩니다만 테이퍼링 실시전 잠시 약세를 보이는 구간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원자재
◎ WTI 63.50 ▼1.71 (-2.62%)
◎ 두바이유 68.03 ▼0.92 (-1.33%)
◎ 브렌트유 66.45 ▼1.78 (-2.61%)
◎ 천연가스 3.83 ▼0.02 (-0.57%)
◎ 금 1,780.20 ▼1.40 (-0.07%)
◎ 구리 8,775.50 ▼373.00 (-4.08%)
◎ 옥수수 550.00 ▲11.75 (-2.09%)
* 유가는 델타 변이 우려와 달러 강세로 하락하였습니다.
* 금가격은 달러 강세와 테이퍼링 의식하면서 하락하였습니다.
▶ 유가는 하락세를유지 하고 있긴 하지만 급락이 있기에 단기적으로 반등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금가격은 당분간 달러 강세가 예상되면서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경제캘린더
▣ 전일 미국 증시 요약
▣ 세계 증시 요약
▣ 한국 섹터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