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

2022-03-14 오늘의 경제

진녕이 2022. 3. 14. 21:24
반응형

 미국(03/11)

 

◎ DOW : 32,944.19 ▼229.88 (-0.69%)

◎ S&P500 : 4,204.31 ▼55.21 (-1.30%)

◎ NASDAQ : 12,843.81 ▼286.15 (-2.18%)

 

* 미국 증시는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추가 제재에 기술주들이 약세를 보이면서 증시 전반적으로 하락하였습니다.

* 연준회의를 앞두고 조금 조심스러운 움직임 또한 한몫하였습니다.

▶ CPI도 급등하고 정책회의를 앞두고 금리도 2.08%대까지 급등하면서 하락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최근 하락세로 저가 매수세또한 들어올 수 있기에 변동성이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

 

 유럽(03/14 18:00 기준)

 

◎ 독일 DAX30 : 14,043.84 ▲415.73 (+3.05%)

◎ 영국 FTSE100 : 7,186.49 ▲30.85 (+0.43%)

◎ 프랑스 CAC40 : 6,383.27 ▲123.02 (+1.97%)

◎ Euro STOXX 50 : 3,770.23 ▲83.45 (+2.26%)

 

* 유럽 증시는 러-우크라 간 협상 진전 소식에 상승하였습니다.

* 지정학적 불안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푸틴이 벨라루스 대통령을 만나 협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밝히면서 투자심리가 계속되었습니다.

* 또한 최근 낙폭에 대한 저가매수세 또한 들어오면서 상승하였습니다.

▶ 미국쪽 통화정책의 영향을 받긴하겠지만 당장 유럽내 분위기는 상승하고 있습니다. 서방의 추가제재가 있음에도 다른 긍정적인 소식이 많아 그런 것으로 생각되며 미국쪽에서 큰 변동성을 보이지 않는한 무난히 마감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아시아

 

◎ 중국 상해종합 3,223.53 ▼86.21 (-2.60%)

◎ 홍콩 항셍 19,531.66 ▼1,022.13 (-4.97%)

◎ 일본 니케이225 25,307.85 ▲145.07 (+0.58%)

◎ 대만 가권 17,263.04 ▼1.70 (-0.01%)

◎ 인도 SENSEX 56,486.02 ▲935.72 (+1.68%)

 

* 중국 증시는 미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불거졌고 미국의 소비자 지수가 최저치를 보여주면서 하락하였습니다. 또 홍콩의 급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 일본 증시는 엔화가 117엔 후반대 까지 상승 즉 엔화 약세에 수출주 중심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중국은 홍콩 주식의 상장폐지 우려로 투자심리가 많이 위축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 러시아쪽에서 도움을 요청하였는데 어떻게 대처하는지도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일본은 엔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수출주 중심으로 상승중인데 인플레이션과 러시아쪽 이슈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커지는 만큼 조금 더 지켜볼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 한국

 

◎ KOSPI 2,645.65 ▼15.63 (-0.59%)

◎ KOSDAQ 872.44 ▼19.27 (-2.16%)

 

* 코스피는 러시아의 디폴트 우려 증가와 미 증시 약세의 영향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외국인이 6382억 순매도 기관과 개인이 49억, 6253억 순매수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섬유의복, 화학, 운수장비, 비금속 순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삼성전자, 삼성SDI, 카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승,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현대차, 기아 등은 하락, 네이버는 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 코스닥은 니스닥 하각과 FOMC의 긴축 우려에 하락하였습니다. 기관과 외국인이 1532억, 3299억 순매도 개인이 5061억 순매수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IT부품, 화학, 일반전기전자, IT H/W 등이 하락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스튜디오드래곤 등 상승, 엘앤에프, 에코프로비엠, 위메이드, HLB, 리노공업 등은 하락하였습니다.

미국 긴축 우려와 러시아쪽의 무한 화폐발행 의지로 하락하였는데 러시아쪽은 매우 위험해 보입니다. 전쟁에서 이기더라도 별 득이 없으니 라시아쪽 비중이 큰 기업은 빨리 정리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긴축은 어쩔 수 없으니 조금 하락을 각오는 해야 할 것입니다. 다만 지금 국채 금리가 상승중이라 조금씩 반영되면서 큰 하락은 없을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 환율(03/14 19:00기준)

 

◎ 미국 KRW/USD 1,239.95 ▲2.85 (+0.23%)

◎ 유럽 연합 EUR/USD 1.0940 ▲0.0031 (+0.28%)

◎ 영국 GBP/USD 1.3024 ▼0.0014 (-0.11%)

◎ 중국 USD/CNY 6.3650 ▲0.0252 (+0.40%)

◎ 일본 USD/JPY 117.94 ▲0.66 (+0.56%)

◎ 브라질 USD/BRL 5.0750 ▲0.0005 (+0.01%)

◎ 달러인덱스 99.01 ▼0.12 (-0.12%)

 

* 달러화는 유가 상승세 재개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일본의 무역수지에 이상이 생길 것으로 판단 이에 엔화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 유로화는 ECB가 채권 매입 종료 시기를 당길 것이란 시그널에 급등하였지만 러시아로 인해 어느정도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금리가 상승하고 유가 상승세에 다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FOMC이후 불확실성 해소로 조금 하락이 예상되지만, 금리를 여러번 올릴 것으로 판단되기에 다시금 상승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원자재

 

◎ WTI 109.33 ▲3.31 (+3.12%)

◎ 두바이유 112.59 ▲2.39 (+2.16%)

◎ 브렌트유 112.67 ▲3.34 (+3.05%)

◎ 천연가스 4.73 ▲0.09 (+2.02%)

◎ 금 1,982.70 ▼15.40 (-0.77%)

◎ 구리 10,145.00 ▲1.00 (+0.01%)

 옥수수 762.50 ▲6.75 (+0.89%)

 

* 유가는 이란과 핵 합의 당사국들 간의 핵 협상이 중단됐다는 소식에 공급 우려가 지속되었고 이에 상승하였습니다.

* 금가격은 러시아와 우크라 협상 진전 기대에 하락하였습니다.

유가는 공급우려가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금가격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조금 주춤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제캘린더

 

▣ 전일 미국 증시 요약

 

 세계 증시 요

 

 한국 섹터 요

 

 한국 증시 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