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21 오늘의 경제
▣ 미국(03/18)
◎ DOW : 34,754.93 ▲274.17 (+0.80%)
◎ S&P500 : 4,463.12 ▲51.45 (+1.17%)
◎ NASDAQ : 13,893.84 ▲279.06 (+2.05%)
* 미국 증시는 연준의 매파적인 발언에도 상승세로 마감하였습니다.
* 연준 위원들은 앞서 회의에서 올해 연말 기준금리가 1.9%까지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 윌러 연준 이사는 이날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극심할 경우 50bp까지 상승폭을 늘릴 수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 금리 인상은 어느정도 시장참가자들이 감안하고 있다는 것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금 2.18%대로 기술주가 압박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되며 러시아쪽을 전쟁상황을 주시해야 할 것입니다. 또 유가가 상승중이라 에너지 섹터를 주시할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 유럽(03/21 18:00 기준)
◎ 독일 DAX30 : 14,412.71 ▲0.38 (+0.00%)
◎ 영국 FTSE100 : 7,440.98 ▲36.25 (+0.49%)
◎ 프랑스 CAC40 : 6,624.36 ▲4.12 (+0.06%)
◎ Euro STOXX 50 : 3,904.22 ▲1.78 (+0.05%)
* 유럽 증시는 러-우크라 상황을 주시하면서 대부분 강보합을 보였습니다.
* 본 갈등과 관련해서 바이든 대통령 및 시진핑 국가 주석이 동화했다는 소식에 안도감이 어느정도 형성되었습니다.
▶ 어느정도 협상에 진전이 있었다는 소식에 어느정도 투자심리는 회복된 것으로 보이지만 상승은 전쟁이 끝나야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미국의 매파적인 행보와는 다소 대비되는 움직임이기에 조금 주의할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독일의 PPI가 예상치 보다는 하회하는 수치라 어느정도 상승의 여지는 있어보입니다. 다만 25.9%로 높은 수치이기에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 아시아
◎ 중국 상해종합 3,253.69 ▲2.61 (+0.08%)
◎ 홍콩 항셍 21,221.34 ▼191.06 (-0.89%)
◎ 일본 니케이225 26,827.43 ▲174.54 (+0.65%) 휴장
◎ 대만 가권 17,560.36 ▲103.84 (+0.59%)
◎ 인도 SENSEX 57,312.69 ▼551.24 (-0.95%)
* 중국 증시는 외국인 자금인 북항자금이 80억 위안 이상 순매도를 가져가면서 강보합을 이루었습니다.
▶ 옥수수등 에너지 관련 섹터 및 농업 섹터가 많이 상승하였습니다. 외국인들의 순매도가 이어진 것은 단순히 일시적인 것으로 생각이 되며 완화적인 자세를 위했기에 다시 상승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80억 위안 한화로 약 1.5조 가량 매도했음에도 상승한 것은 기관과 개인의 매수세가 큰 것으로 생각되는데 중국의 매력이 감소한 것이라면 당분간 외국계 자금의 순매도세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조금은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한국
◎ KOSPI 2,686.05 ▼20.97 (-0.77%)
◎ KOSDAQ 918.40 ▼4.56 (-0.49%)
* 코스피는 중국의 변동성 확대와 유가 급등의 영향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4873억, 3312억 순매도 개인이 7984억 순매수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전기가스, 서비스업, 건설업, 운수창고 순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현대차, 카카오, 기아, 셀트리온 등은 하락, LG에너지솔루션 등이 상승하였습니다.
* 코스닥은 장중 유가가 상승하면서 투자심리가 후퇴 이에 하락하였습니다. 외국인이 652억 순매도 기관이 112억, 593억 순매수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제약, 유통, 디지털컨텐츠, 오락문화 순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셀트리온헬스케어, 펄어비스, 카카오게임즈, 셀트리온제약 등이 하락하였습니다.
▶ 중국의 변동성과 유가 상승으로 하락하였고 원화도 약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기계적으로 수출 중심의 종목이 좋아보이지만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기에 당분간 의사결정은 보류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또 금리 변동성이 조금 커지는 것으로 보이면서 추가 하락을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새벽에 있을 미국 증시가 특히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환율(03/21 19:00기준)
◎ 미국 KRW/USD 1,215.00 ▲3.63 (+0.30%)
◎ 유럽 연합 EUR/USD 1.1057 ▲0.0008 (+0.07%)
◎ 영국 GBP/USD 1.3148 ▼0.0028 (-0.21%)
◎ 중국 USD/CNY 6.3560 ▼0.0052 (-0.08%)
◎ 일본 USD/JPY 119.22 ▲0.05 (+0.04%)
◎ 브라질 USD/BRL 5.0236 ▲0.0000 (+0.00%)
◎ 달러인덱스 98.25 ▲0.01 (+0.02%)
* 달러화는 매파 연준을 소화하면서 강세를 보였습니다.
* 유로화는 ECB 총재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다시 강세를 보였습니다.
* 엔화는 6년만에 최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달러화는 금리가 어느정도 상승하면서 강세를 보였고 다시 하락하고 있습니다. 장중 금리 추이에 따라 어느정도 결정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금리가 하락보다는 상승에 조금 무게가 실리고 있는 상황으로 생각됩니다.
▣원자재
◎ WTI 103.09 ▲1.44 (+1.41%)
◎ 두바이유 108.99 ▲0.21 (+0.19%)
◎ 브렌트유 107.93 ▲1.29 (+1.21%)
◎ 천연가스 4.86 ▼0.13 (-2.54%)
◎ 금 1,928.20 ▼13.90 (-0.71%)
◎ 구리 10,249.00 ▲83.00 (+0.82%)
◎ 옥수수 741.75 ▼12.75 (-1.69%)
* 유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협상이 진척이 보이지 않아 상승하였습니다.
* 금가격은 매파 연준을 소화하면서 금리가 상승 이에 하락하였습니다.
▶ 유가는 협상 진행상황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정도 진행상황이면 소폭 상승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금가격은 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연준의 발언으로 다소 상승할 것으로 판단 이에 추가적인 하락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경제캘린더
▣ 전일 미국 증시 요약
▣ 세계 증시 요약
▣ 한국 섹터 요약
▣ 한국 증시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