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

2021-01-22 오늘의 경제

진녕이 2021. 1. 22. 20:52
반응형

▣ 미국(01/21)

 

 DOW : 31,176.01 ▼12.37 (-0.04%)

 S&P500 : 3,853.07 ▲1.22 (+0.03%)

 NASDAQ : 13,530.92 ▲73.67 (+0.55%)

 

* 뉴욕증시는 새정부 정책에 대한 낙관론과 지속적인 주가 상승에 대한 부담이 작용하면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 3대 지수 모두 장중 가격 기준 신고점을 기록하였는데 1조9천억 달러의 대귬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가 크고, 추가 COVID-19 감염증 대응에 바이든 정부가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낙관론 확산에 증시가 상승하였습니다.

* 기업 실적이 양호한 점도 주가를 지지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팩트셋에 따르면 이날 실적을 발표한 기업중 90%는 시장 예상을 웃도는 순익을 기록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 전날 언급한대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당분간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다음주 GDP관련 소식도 있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또 달러약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좌시하지 않겠다고 언급한 만큼 대응이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유렵(01/22 18:30기준)

 

◎ 독일 DAX30 : 13,818.94 ▼87.73 (-0.63%)

◎ 영국 FTSE100 : 6,682.04 33.38 (-0.50%)

◎ 프랑스 CAC40 : 5,547.80 ▼42.99 (-0.77%)

◎ Euro STOXX50 : 3,593.06 ▼25.29 (-0.70%)

 

* 유럽 증시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놓을 정책과 주요 경제지표, 기업실적 등과 이날 ECB통화정책회의 등을 주목하였지만 ECB총재가 COVID-19로 유로존 경제에 심각한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경기회복에 대한 불안감으로 하락하였습니다.

▶ 언급하였다시피 유럽내 확진자수는 주춤할세도 없이 쭉쭉뻗어나갑니다. 그로인해 실적이 안좋을 것은 명확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이라 잠시 내려올 때 펀더멘탈이 튼실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 아시아

 

◎ 중국 상해종합 3,606.75 ▼14.51 (-0.40%)

◎ 홍콩 항셍 29,447.85 ▼479.91 (-1.60%)

◎ 일본 니케이225 28,631.45 ▼125.41 (-0.44%)

◎ 대만 가권 16,019.03 ▼134.74 (-0.83%)

◎ 인도 SENSEX 48,881.25 ▼743.51 (-1.50%)

 

* 중국 증시는 COVID-19 재확산 우려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정부에서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지역감염은 이어지고 있는 중입니다. 또한 전날 바이든 취임의 상승으로 인한 차익실현 움직임도 증시하락 재료로 작용하였습니다.

* 일본 증시는 다음주 기업실적 발표를 대기하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다음주 실적발표에 앞서 경계감이 퍼진 가운데 차익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금 전망치가 전달대비 낮은 예상치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 중국은 지금 지표상 회복하고 있다고 보여졌지만 확진자수의 증가로 혼란을 보이는 와중에 펀더메탈은 아직 괜찮아 보입니다. 일본 또한 지금 지표 하락은 일시적인 것이락 생각이 됩니다. 오히려 펀더멘탈에 집중하여 정리할것 정리하고 집중할 것 집중하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 한국 

 

◎ KOSPI 3,140.63 ▼20.21 (-0.64%)

◎ KOSDAQ 979.98 ▼1.42 (-0.14%)

 

* 코스피는 바이든 백신 보급 가속화 정책 발표및 대형 기술주의 강세에 강보합으로 출발 글로벌 COVID-19의 확진세의 심화와 기관 및 외국인의 대형주 위주 순매도로 하락하였습니다. 기관 1.4조 외국인 3천억 순매도, 개인이 1.6조 순매수 하였습니다. 업종별로는 운수장비, 철강금속, 금융업, 보험, 증권 등이 약세, 비금속광물, 섬유의복, 서비스업, 음식료품, 종이목재는 상승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현대차,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기아차 등은 내렸습니다. 네이버, 삼성SDI, 카카오 등은 강세를 보였습니다. 모바일 사업부 매각 시사에 이틀간 급등세를 보였던 LG전자는 이날 차익실현의 영향으로 4%가량 하락하였습니다.

* 코스닥은 전날 나스닥 지수의 강세로 강보합으로 출발 기계,장비 및 IT부품 업종 위주 기관,외국인의 순매도로 하락하였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순매도, 개인은 순매수 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는 셀트리온 헬스케어, 씨젠, 에코프로비엠, CJENM, 펄어비스, 카카오게임즈 등은 올랐고, 셀트리온제약, 에이치엘비, 알테오젠, SK머티리얼즈 등은 하락하였습니다.

▶ 섣부른 판단이지만 요전에는 증시를 개인들이 주도했는데 지금을 증시를 받치는 정도로 변한 것 같습니다. 또 공매도 또한 6월로 미룬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자신있는 트레이더가 아니라면 이럴때 일수록 기본으로 돌아가 펀더멘탈에 집중해야 할 때 인 것 같습니다. 

 

▣ 통화

 

◎ 미국 KRW/USD 1,105.00 ▲4.00 (+0.36%)

 유럽 연합 EUR/USD 1.2176 0.014 (+0.12%)

 영국 GBP/USD 1.3668 0.0064 (+0.47%)

◎ 중국 USD/CNY 6.4779 0.0184 (+0.28%)

◎ 일본 USD/JPY 103.69 0.21 (+0.21%)

◎ 브라질 USD/BRL 5.3511 0.0000 (+0.%)

◎ 달러인덱스 90.12 0.34 (-0.38%)

 

* 달러화는 위험선호 현상 강화에 약세를 보였고 바이든의 대규모 재정 부양책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경제지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ECB는 기준금리와 양적완화를 동결하는 등 기존 통화 정책을 고수하였고 ECB는 완화적인 금융 여건이 유지될 경우 펜데믹 긴급 매입프로그램(PEPP)을 전액 사용할 필요 없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또한 총재는 최근 경제지표는 팬데믹의 부정적인 영향을 가르키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는 여전히 낮은 상태라며 통화정책 방향을 고수한 배경을 설명하였고, 유로환율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모니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유럽은 COVID-19의 재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변이까지 확산하고 있는 데다 봉쇄조치 강화로 경제성장이 다시 둔화하는 더블 딥 우려까지 불거졌습니다.

▶ 이러한 유럽실정과 달러약세는 우리입장에서 수출에 대한 압박이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을 논하기엔 지금 충분히 달러가치가 높아 수출에는 타격이 없겠지만 두고봐야할 사안으로 보입니다.

 

▣원자재

 

◎ WTI 53.13 0.18 (-0.33%) 

◎ 두바이유 54.95 0.01 (-0.02%) 

◎ 브렌트유 56.10 ▲0.02 (+0.04%) 

◎ 천연가스 2.49 0.05 (-1.89%)

◎ 금 1,865.90 ▼0.60 (-0.03%)

◎ 구리 8,051.00 ▲36.50 (+0.46%)

 

* 유가는 미국 원유재고가 예상과 달리 증가하여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변이 바이러스의 발견으로 중국에서도 확진자가 다시 증가하는 와중에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의 위기가 고조되면서 유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 금가격은 최근 급등한 탓에 이에 따른 차익실현으로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경제캘린더

▣ 전일 미국 증시 요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