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11/26)
◎ DOW : 34,899.34 ▼905.04 (-2.53%)
◎ S&P500 : 4,594.62 ▼106.84 (-2.27%)
◎ NASDAQ : 15,491.66 ▼353.57 (-2.23%)
* 미국 증시는 남아공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출현에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 지난해 이후 최대 하락률을 기록하였습니다.
* 하락주에서 특히 항공과 여행관련주가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다만 제약주와 재택 관리주가 하락폭을 어느정도 지지하였습니다.
▶ 코로나 이슈로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이정도 하락이면 보통 저가 매수세로 다음 거래일엔 상승을 하는 모습을 보통 보여왔는데 확실한 것은 확인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에 연준에서 테이퍼링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어떻게 판단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 유럽(11/29 18:00 기준)
◎ 독일 DAX30 : 15,304.23 ▲47.19 (+0.31%)
◎ 영국 FTSE100 : 7,095.29 ▲51.26 (+0.73%)
◎ 프랑스 CAC40 : 6,783.58 ▲43.85 (+0.65%)
◎ Euro STOXX 50 : 4,117.74 ▲28.16 (+0.69%)
* 유럽 증시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우려로 하락하였습니다.
* 겨울을 앞두고 코로나 확진자수가 급증한 가운데 새 변이 바이러스 출현 소식까지 겹치면서 매도세가 거세졌습니다.
▶ 최근 부진하였기에 저가매수세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여행주나 항공주 이런 경기 민감주의 주세를 조심해야 할 것이고 미국의 추세도 어느정도 영향받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무난히 흘러간다면 저가 매수세로 인한 상승마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아시아
◎ 중국 상해종합 3,562.70 ▼1.39 (-0.04%)
◎ 홍콩 항셍 23,852.24 ▼228.28 (-0.95%)
◎ 일본 니케이225 28,283.92 ▼467.70 (-1.63%)
◎ 대만 가권 17,328.09 ▼41.30 (-0.24%)
◎ 인도 SENSEX 57,260.58 ▲153.43 (+0.27%)
* 중국 증시는 오미크론 변이를 예의 주시하면서 하락하였습니다. 각국이 변이 확산을 위해 여행 규제 조치를 내린 영향을 받으면서 하락하였습니다.
* 일본 증시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하였습니다. 특히 입국 관련 조치가 들어가면서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 변이 바이러스로 하락하였습니다. 이는 글로벌적인 약세를 보이면서 하락하였는데 이에 미국과 유럽에서 저가매수세로 상승반전 시킨다면 일본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중국은 최근 규제 및 여러 이슈로 하락을 이렇다할 상승을 하지 못하고 있기에 더욱 치명적일 것으로 판단 추가적인 하락이 있을 가능성도 염두는 해둬야 할 것입니다.
▣ 한국
◎ KOSPI 2,909.32 ▼27.12 (-0.92%)
◎ KOSDAQ 992.34 ▼13.55 (-1.35%)
* 코스피는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급락하였고 전기전자주 중심으로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세에 하락폭이 다소 감소하였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445억, 7148억 순매수, 개인이 7556억 순매도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기계, 비금속, 철강금속, 유통업 순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카카오뱅크, 삼성바이오로직스, SK하이닉스 등은 상승, 현대차, 카카오, 삼성전자우, LG화학, 네이버, 삼성SDI 등은 하락하였습니다.
* 코스닥은 나스닥 급락의 영향으로 하락하였습니다. 기관과 외국인이 810억, 2174억 순매수 개인이 3162억 순매도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금융, 소프트웨어, 건설, 컴퓨터서비스 등이 하락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위메이드, 씨젠, 카카오게임즈, 펄어비스 상승, 에코프로비엠,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엘앤에프, 천보, 에이치엘비 등은 하락하였습니다.
▶ 기관 매수세가 나왔다는 것도 좋고 유럽에서 저가 매수세가 시작된 것도 일단은 좋에 판단하고 있습니다. 물론 트레이딩 관점에서 기관에서 많이 사용한다는 볼린저 밴드 하단 라인에 닿아 수급이 들어온 것도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만 종합적으로 생각해 본다면 긍정적이라 생각됩니다. 미국 쪽에서 상승 마감이 된다면 상승할 가능성이 하락보다는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
▣ 환율(11/26 19:00기준)
◎ 미국 KRW/USD 1,191.10 ▼3.33 (-0.28%)
◎ 유럽 연합 EUR/USD 1.1293 ▼0.0027 (-0.23%)
◎ 영국 GBP/USD 1.3356 ▲0.0015 (+0.12%)
◎ 중국 USD/CNY 6.3825 ▼0.0098 (-0.15%)
◎ 일본 USD/JPY 113.53 ▲0.22 (+0.19%)
◎ 브라질 USD/BRL 5.6085 ▼0.0008 (-0.01%)
◎ 달러인덱스 96.17 ▲0.08 (+0.08%)
* 달러화는 남아공 변이로 안전자산 선호가 커지면서 엔화의 수요가 금증 이에 안화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 유로화도 하락후 소폭 반전되면서 달러의 강세폭을 제한하였습니다.
▶ 국채 금리가 1.4%대에서 급등하긴 하였습니다. 하지만 1.53%대로 전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어 일시적으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일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죽지 않을 것으로 생각이 되기에 채권 가격이 상승하진 못할지라도 추가적인 하락은 기대하기 어렵기에 달러화는 일시적인 수급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원자재
◎ WTI 68.15 ▼10.24 (-13.06%)
◎ 두바이유 70.24 ▼9.31 (-11.70%)
◎ 브렌트유 71.59 ▼9.33 (-11.53%)
◎ 천연가스 5.48 ▲0.36 (+7.09%)
◎ 금 1,785.50 ▲1.20 (+0.06%)
◎ 구리 9,630.00 ▼302.00 (-3.04%)
◎ 옥수수 586.75 ▲7.00 (+1.21%)
* 유가는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공포로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 금가격은 변이 바이러스를 의식하면서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 유가는 공포로 패닉셀이 나온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비축유등 풀었다는 소식도 없고 변이 바이러스로 공급에 차질이 생겼다는 소식도 없기에 바로 반등에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금가격은 변이 바이러스로 수급은 좋을 것으로 판단이 되나 국채 금리의 추이를 봐야 더욱 명확해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경제캘린더
▣ 전일 미국 증시 요약
▣ 세계 증시 요약
▣ 한국 섹터 요약
'오늘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2-01 오늘의 경제 (0) | 2021.12.01 |
---|---|
2021-11-30 오늘의 경제 (0) | 2021.11.30 |
2021-11-26 오늘의 경제 (0) | 2021.11.26 |
2021-11-25 오늘의 경제 (0) | 2021.11.25 |
2021-11-24 오늘의 경제 (0) | 2021.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