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같이 공부합니다!

어려운 경제 금융 다같이 공부합니다!

반응형

Valuation 28

M&A 시장접근법 -2

지난시간에 유사기업 선정까지 해보았습니다. 유사기업을 선정한 이후 상대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멀티플을 찾아야 합니다. 그 멀티플을 찾기위해 다트에서 연결재무제표 혹은 주석등을 복사하여 갖고 옵니다. 여기서 NOA와 IBD등을 추려냅니다. 이렇게 중요정보를 추려냅니다. 그후 타겟회사인 셀트리온의 멀티플을 찾아냅니다. 이런식으로 나옵니다. 이러한 작업을 다른 유사기업도 마저해줍니다. 이런식으로 멀티플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유사기업에서 어떠한 멀티플을 사용할지 결정을 해야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이 많습니다. 유사기업의 멀티플중에서 가장 유사한 1가지 기업을 사용할지 평균을 내서 사용할지 등도 판단을 내려야하고, 타겟과 차이가 난다면 타겟이 저평가 되어있는 것인지 특수성이 반영되어 낮은 것이 정상..

Valuation/M&A 2021.01.20

M&A 시장접근법 -1

지난시간에는 이익접근법의 대표적인 방식인 DCF를 공부하였습니다. 이번시간부턴 시장접근법인 상대가치평가법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상대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선 일단 리서치를 하여야 합니다. 내가 평가할 기업을 리서치를 통하여 산업정보, 시장정보 재무정보 등을 수집한 후 내가 평가할 기업과 유사한 기업을 선정해야 합니다. 유사 기업을 선정함에 있어서 어떤 기준으로 유사기업을 가려낼지가 중요포인트입니다. 기준으로 유사한 제품을 판다거나 사업의 규모가 비슷하다거나 이러한 것들이 있습니다. 다음 유사기업과 평가하고자 하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분석하여 적용하기 가장 적절한 멀티플을 결정합니다. 이후 평가하는 대상 기업에 멀티플을 활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산정합니다. 모델링을 함에 있어서 가장정확한 모델을 적용한다고..

Valuation/M&A 2021.01.18

M&A 이익접근법 - 4

지난 시간에 FCFF를 추정하였습니다. 이번시간에는 DCF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공부하고자 합니다. DCF에 있어서 추정한 영업이익이 타당한지 확인하기 앞서 지금까지 데이터중에서 빠진 것이 없는지 확인을 해바야 합니다. 실제로 실무에서도 기타비용은 나중에 더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항목이 종종 빠져 보고서를 다시 올리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러한 기타비용과 대손상각비를 다시추정하면 됩니다. 여기서 대손상각비는 매출채권과 관련된 계정이기에 거기에 맞춰 추정하여야 합니다. 아니면 지금까지 매출의 %로 계산하여도 문제가 없습니다. DCF를 최종 마무리 하기 앞서 1가지가 남았습니다. 바로 Terminal Value 입니다. 영구성장률도 재무모델링에서 언급하였습니다. 여기선 실무에서 많이 쓰이는 1%로 ..

Valuation/M&A 2021.01.15

M&A 이익접근법 -3

저번시간에 매출액을 추정하는 것에 이어서 오늘은 매출원가부터 시작하여 FCFF를 추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매출원가 비용은 기본적으로 변동비(VC)와 고정비(FC)로 나누어 지게 됩니다. 매물이 나와서 이를 평가 할 때는 기업에서 직접 자료를 전해주지만 일반 공시된 기업은 직접 차감하여서 사용하게 됩니다. 다시 돌아와서 주석에 보면 비용의 성격별 분류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이를 참고하여 VC와 FC를 나누고 이에 따라 추정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추정할 때 % of Sales을 구하여 추정을 하는데 최근의 비율을 사용할지 과거데이터와의 평균을 내서 적용할지는 개인의 판단과 주석을 통하여 분석합니다. 여기선 과거와 차이가 나지않고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최근 비율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위아 같이 추정할..

Valuation/M&A 2021.01.13

M&A 이익접근법 -2

지난시간에 WACC을 구했으니 이번엔 추정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직접 추정에 앞서서 저번에도 비슷하게 언급하였지만 다시한번 짚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FCFF를 추정하고 맞추는 것은 불가능 합니디. 한순간 이슈가 발생한다면 당연히 추정치와 다르게 되는 것입니다. 상장되어 있는 기업도 그런데 벤처기업은 잠재적인 성장가능성 까지 반영을 해야하니 더욱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시점에서 정상영업하에 제일 적정하다고 판단하는 것은 의사결정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기에 필요한 것입니다. 판단하여 추정하는 부분에서 가장 많이 보는 부분은 주석부분입니다. 주석에는 영업환경의 구성이 제일 잘 설명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 주석이 아래와 같이 나와있고 추정을 시작하게 되는 것입니다. 매출액을 평가시 먼저 해야할 것은 전에도 공..

Valuation/M&A 2021.01.11

M&A 이익접근법 -1

안녕하세요. 지난번 공부한 재무모델링을 바탕으로 M&A에 대해 공부를 해보고자 합니다. M&A를 위해 기업을 평가하기 위한 접근 방법이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이익접근법 2. 시장접근법 당분간은 이익접근법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익접근법에 몇가지 방법이 있는데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인 현금흐름할인법(DCF)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저번에도 언급하였지만 DCF를 하기 위해선 할인율인 WACC를 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예시를 들 기업은 포스코 입니다. 다시 넘어와서 WACC를 구하려면 일단 자기자본의 비용과 타인자본의 비용을 알아야 합니다. 자기자본비용) 자기자본 비용은 CAPM을 활용한 주식의 요구수익률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또한 u..

Valuation/M&A 2021.01.08

재무 모델링 4

이번 시간은 재무 모델링의 마지막 시간이 되겠습니다. 마지막을 지금까지 valuation 한것을 투자자 입장에선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우선적으로 여러가지 방법으로 valuation 한것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를 한번 해보아야 합니다. 대표적인 상대가치평가법인 per아 절대가치평가법인 dcf로 나타내어 보았습니다. 이렇게 가치를 평가한다음 활용하는 방법은 무지하게 많습니다. 적정 주가를 계산한다는지 PEF에서 매입할 때 사용한다던지 IPO시 측정한다던지 할 수 있습니다. 목적에 따라서 얼마든지 활용하는 방법은 무궁무진합니다. 끝으로 지금까지의 DCF를 복습해 보자면 IS의 당기순이익이 BS의 이익잉여금으로 현금흐름표의 기말현금이 BS의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유기적으로 ..

재무 모델링 3-3

이번엔 상대가치평가법에 대해 공부해보자 합니다. 상대가치평가란 멀티플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는 방법입니다. 방법론으로는 1. 평가방법 선정 PSR, EV/EBITDA, PER, PBR 등등 평가하고자 하는 기업의 ratio를 선정합니다. 2. 유사기업 선정 평가 하고자하는 사업, 재무구조 등등 기업과 비슷한 기업을 찾습니다. 3. 유사기업의 멀티플을 도출해 냅니다. 4. 유사기업의 멀티플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기업의 가치를 도출해 냅니다. 이러한 방법을 제일 잘 나타낸 곳이 dart 입니다. 투자 설명서탭에서 인수인의 의견 거기서 분석기관의 평가의견을 보면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말입니다. 또한 운용사에서도 CoCo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상 오늘 복습을 마치겠습니다.

재무 모델링 3-2

이번시간엔 지금까지 추정한 FS를 지난시간에 공부한 내용가 접목 시켜보려고 합니다. 1. 일단 따로 DCF 시트를 만듭니다. 그뒤 CF를 추정하기 위해 sales, cogs, sg&a, ebit, earnings before interest 등등 갖고옵니다. 특히 earnings before interest에서 depriciation&amrtization을 더하고 capital expendituuure, changes in working capital 등은 빼줍니다. 전체적인 CF를 그립니다. 2. 전체적으로 할인하기 위한 Wacc를 구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2가지를 알아야 합니다. a. cost of Equity / b. after tax cost of debt 입니다. 이를 자본 구조에 맞게 구한 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