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03/09)
◎ DOW : 33,286.25 ▲653.61 (+2.00%)
◎ S&P500 : 4,277.88 ▲107.18 (+2.57%)
◎ NASDAQ : 13,255.55 ▲460.00 (+3.59%)
* 미국 증시는 UAE가 다른 산유국 회원국에서 생산량을 늘릴 것을 요구하면서 원자재 가격 하락이 예상되면서 상승하였습니다.
* 3월 15~16일에 있을 연준의 회의를 대기하면서 CPI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 CPI를 주시하고 있는데 인플레이션 압력을 느끼기 위해서 인 것으로 보이며 높게나온다면 하락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잠시 반등한 것으로 판단 러시아쪽이 잘 해결안된다면 원자재 가격이 그렇게 내려갈지는 조금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일시적인 상승으로 판단 다시 하락할 확률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금리추이도 지금은 조금 진정됐지만 단기간에 다시 1.9%대로 상승하면서 금리 추이또한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 유럽(03/10 18:00 기준)
◎ 독일 DAX30 : 13,670.44 ▼177.49 (-1.28%)
◎ 영국 FTSE100 : 7,147.17 ▼43.55 (-0.61%)
◎ 프랑스 CAC40 : 6,300.21 ▼87.62 (-1.37%)
◎ Euro STOXX 50 : 3,711.69 ▼54.33 (-1.44%)
* 유럽 증시는 저가 매입과 유가 하락의 기대로 상승하였습니다.
*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포기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러시아와의 긴장감이 다소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또한 투자심리를 자극하였습니다.
▶ 미국 금리가 다소 큰 하락을 보이지 않고 높은 수준을 유지 러시아쪽도 긴장감은 여전하기에 하락하고 있습니다. 미국쪽에서 큰 반전이 없다면 하락으로 마감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아시아
◎ 중국 상해종합 3,296.09 ▲39.70 (+1.22%)
◎ 홍콩 항셍 20,890.26 ▲262.55 (+1.27%)
◎ 일본 니케이225 25,690.40 ▲972.87 (+3.94%)
◎ 대만 가권 17,433.20 ▲417.84 (+2.46%)
◎ 인도 SENSEX 55,464.39 ▲817.06 (+1.50%)
* 중국 증시는 우크라이나의 협상 기대와 유가 하락기대에 상승하였습니다.
* 일본 증시는 원유의 생간 기대에 유가가 하락 이에 상승하였습니다.
▶ 중국 증시는 PPI가 높아 이에 유가 하락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본도 비슷하게 상승하였습니다. 다만 중국, 일본 모두 완전한 전쟁에 대한 해소가 아닌 기대라 일시적인 상승으로 생각됩니다.
▣ 한국
◎ KOSPI 2,680.32 ▲57.92 (+2.21%)
◎ KOSDAQ 889.08 ▲18.94 (+2.18%)
* 코스피는 OPEC의 원유 증산 논의 소식에 유가 하락, 또 러-우간 협상 소식에 이에 상승하였습니다. 외국인과 개인이 4272억, 3539억 순매도 기간이 7656억 순매수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건설, 서비스, 유통, 비금속 순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SDI, 기아, 네이버, 카카오 등이 상승하였습니다.
* 코스닥은 나스닥 급등에 따른 영향으로 상승하였습니다. 개인과 외국인이 2553억, 56억 순매도 기관이 2713억 순매수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건설, 방송서비스, 디지털컨텐츠, 운송장비부품 순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셀트리온헬스케어, 에코프로비엠, 펄어비스, 엘앤에프,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 셀트리온제약, HLB, 천보, 씨젠 등으로 상승하였습니다.
▶ 원자재 가격이 일시적으로 하락하고 러시아쪽 상황이 안도감으로 주면서 상승하였는데 금리도 크게 하락하지 않았고 러시아쪽도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기에 다시 하락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 환율(03/10 19:00기준)
◎ 미국 KRW/USD 1,227.90 ▲4.64 (+0.38%)
◎ 유럽 연합 EUR/USD 1.1040 ▼0.0035 (-0.33%)
◎ 영국 GBP/USD 1.3157 ▼0.0022 (-0.17%)
◎ 중국 USD/CNY 6.3228 ▲0.0051 (+0.08%)
◎ 일본 USD/JPY 115.95 ▲0.14 (+0.12%)
◎ 브라질 USD/BRL 5.0150 ▲0.0027 (+0.05%)
◎ 달러인덱스 98.14 ▲0.18 (+0.18%)
* 달러화는 유로화가 큰 폭의 반등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엔화가 약세 폭을 줄이면서 달러 인덱스 기준으로 큰폭의 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 금리는 큰폭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이고 금리 추이 혹은 러시아쪽 진행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하는 것이 더욱 좋은 전략으로 생각됩니다.
▣원자재
◎ WTI 108.70 ▼15.00 (-12.12%)
◎ 두바이유 110.86 ▼11.67 (-9.52%)
◎ 브렌트유 111.14 ▼16.84 (-13.16%)
◎ 천연가스 4.53 ▼0.00 (-0.02%)
◎ 금 1,985.90 ▼54.20 (-2.65%)
◎ 구리 10,052.00 ▼119.00 (-1.17%)
◎ 옥수수 733.00 ▼20.00 (-2.66%)
* 유가는 OPEC+의 증산논의 소식에 하락하였습니다.
* 금가격은 금리안정과 원자재 가격하락 등 위험회피 심리가 다소 누그러 들면서 하락하였습니다.
▶ 유가는 아직 논의가 확정되진 않았지만 노의한다는 좋은 소식에 하락하였는데 실제로 이루어질지는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금가격은 일시적으로 하락하였는데 다소 일시적인 이유로 하락한 것으로 판단 다시 상승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경제캘린더
▣ 전일 미국 증시 요약
▣ 세계 증시 요약
▣ 한국 섹터 요약
▣ 한국 증시 요약
'오늘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3-14 오늘의 경제 (0) | 2022.03.14 |
---|---|
2022-03-11 오늘의 경제 (0) | 2022.03.11 |
2022-03-09 오늘의 경제 (0) | 2022.03.09 |
2022-03-08 오늘의 경제 (0) | 2022.03.08 |
2022-03-07 오늘의 경제 (0)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