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03/21)
◎ DOW : 34,552.99 ▼201.94 (-0.58%)
◎ S&P500 : 4,461.18 ▼1.94 (-0.04%)
◎ NASDAQ : 13,838.46 ▼55.38 (-0.40%)
* 미국 증시는 제롬 파월 연준의장이 공격적인 긴축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하락하였습니다.
* 파월 의장이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연준이 신속하게 움직여야 한다면서 필요한 경우 한 번 이나 여러 회의에서 50bp로도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협상은 진척을 보이지 않고 러시아군의 군사작전이 계속되면서 위험 심리를 강화하였습니다.
▶ 미 국채 금리가 2.346까지 상승하면서 기술주등 하락압력이 커지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러시아쪽에서 많은 진전이 있지 않다면 하락의 여지가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최근 하락이 길어 저가 매수세가 들어올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 유럽(03/22 18:00 기준)
◎ 독일 DAX30 : 14,456.74 ▲129.77 (+0.91%)
◎ 영국 FTSE100 : 7,485.61 ▲43.22 (+0.58%)
◎ 프랑스 CAC40 : 6,630.48 ▲48.15 (+0.73%)
◎ Euro STOXX 50 : 3,914.11 ▲32.31 (+0.83'%)
* 유럽 증시는 국제 유가 급등 속에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 러-우크라 간 협상이 진전되지 못하면서 지정학적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유가도 재가 상승하면서 리스크오프가 확대 이에 하락하였습니다.
▶ 우크라쪽에서 러시아의 최후 통첩도 거부하면서 시장이 마냥 상승이라고는 바라보기 힘들다고 생각됩니다. 지금 상승은 그간 하락에 대한 일시적인 상승으로 생각이 되며미국쪽 금리가 높은수준을 유지하고 있기에 상승폭 감소는 충분히 일어날만 하다고 생각됩니다.
▣ 아시아
◎ 중국 상해종합 3,259.86 ▲6.18 (+0.19%)
◎ 홍콩 항셍 21,889.28 ▲667.94 (+3.15%)
◎ 일본 니케이225 27,224.11 ▲396.68 (+1.48%)
◎ 대만 가권 17,559.71 ▲0.65 (+0.00%)
◎ 인도 SENSEX 57,882.19 ▲589.70 (+1.03%)
* 중국 증시는 피월의 매파적인 발언에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 일본 증시는 미국의 강한 매파적인 발언에 달러화 강세가 뚜렷해졌고 이에 엔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수출주 중심으로 상승하였습니다.
▶ 중국은 파월의 매파적인 발언어 상승폭이 작았는데 환율쪽에서 좀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수출주의 수혜에도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은 조금만 흔들리면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중국 성장력이 밀릴 수도 있다는 소식이 최근 전해지면서 포지션 조정은 좀 필요해 보입니다. 일본은 미 국채 금리 상승에도 오히려 상승하고 있습니다. 수출주 중심으로 당장은 좋아 보이지만 일본이 아직까진 완화적인 정책을 유지한다고 하니 더 나아가 수입관련 섹터는 좋지 않게 되고 다시 어느정도 조정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 한국
◎ KOSPI 2,710.00 ▲23.95 (+0.89%)
◎ KOSDAQ 924.67 ▲6.27 (+0.68%)
* 코스피는 중국의 시장 부양 기대감과 달러 강세에 의한 수출기대에 기관의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상승하였습니다. 외국인과 개인이 1144억, 1847억 순매도 기관이 2846억 순매수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운수장비, 건설업, 철강금속, 금융업 순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네이버, 삼성바이오로직스, 카카오, 현대차, 삼성SDI, LG화학, 기아 등이 상승하였습니다.
* 코스닥은 나스닥 하락에도 불구하고 수출기대감에 상승하였습니다. 기관과 외국인이 426억, 194억 순매수 개인이 515억 순매도 하였습니다. 업종별로 음식료담배, 소프트웨어, 의료정밀기기, 통신장비 순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 펄어비스, 엘앤에프,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 천보, CJENM 등이 상승, 셀트리온헬스케어, 에코프로비엠, 셀트리온제약, HLB 등이 하락하였습니다.
▶ 중국과 비슷하게 수출기대감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본에서 언급했다시피 환율이 올라가면 수출 중심인 우리나라 입장에서 당장은 호재일 수 있으나 수입관련 소비 관련쪽에서 하락하기 시작 이에 조정이 들어갈 수 있음을 어느정도는 인지 하여야 할 것입니다.
▣ 환율(03/22 19:00기준)
◎ 미국 KRW/USD 1,219.77 ▼0.04 (-0.00%)
◎ 유럽 연합 EUR/USD 1.0992 ▼0.0022 (-0.20%)
◎ 영국 GBP/USD 1.3182 ▲0.0017 (+0.13%)
◎ 중국 USD/CNY 6.3637 ▲0.0077 (+0.12%)
◎ 일본 USD/JPY 120.85 ▲1.38 (+1.17%)
◎ 브라질 USD/BRL 4.9366 ▲0.0012 (+0.02%)
◎ 달러인덱스 98.70 ▲0.20 (+0.21%)
* 달러화는 국채 수익률의 상승의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 달러화 강세에 엔화는 6년만에 최저치를 보였습니다.
▶ 유럽 쪽도 매파적인 발언에 다시 강세를 보이면서 어느정도 균형을 보이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한화 약세가 크지 않고 엔화의 약세가 길어지고 있습니다. 금리가 어느정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에 상승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금리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원자재
◎ WTI 109.97 ▲6.88 (+6.67%)
◎ 두바이유 111.73 ▲2.74 (+2.51%)
◎ 브렌트유 115.62 ▲7.69 (+7.12%)
◎ 천연가스 4.90 ▲0.04 (+0.76%)
◎ 금 1,928.60 ▲0.40 (+0.02%)
◎ 구리 10,173.00 ▼76.00 (-0.74%)
◎ 옥수수 756.25 ▲14.50 (+1.95%)
* 유가는 유럽 연합이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금지할 수 있다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급등하였습니다.
* 금가격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하락하였습니다.
▶ 유가는 검토만으로 상승이라 조금 지켜볼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금가격은 금리 추이를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경제캘린더
▣ 전일 미국 증시 요약
▣ 세계 증시 요약
▣ 한국 섹터 요약
▣ 한국 증시 요약
'오늘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3-24 오늘의 경제 (0) | 2022.03.24 |
---|---|
2022-03-23 오늘의 경제 (0) | 2022.03.23 |
2022-03-21 오늘의 경제 (0) | 2022.03.21 |
2022-03-18 오늘의 경제 (0) | 2022.03.18 |
2022-03-17 오늘의 경제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