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같이 공부합니다!

어려운 경제 금융 다같이 공부합니다!

오늘의 경제

2020-12-22 오늘의 경제

진녕이 2020. 12. 22. 20:40
반응형

▣ 미국(12/21)

 

 DOW : 30,216.45 ▲37.40 (+0.12%)

 S&P500 : 3,694.92 ▼14.49 (-0.39%)

 NASDAQ : 12,742.52 ▼13.12 (-0.10%)

 

* 뉴욕증시는 미국 신규 부양책 합의에도 COVID-19의 변종 확산에 대한 우려로 혼조세를 이루었습니다.

*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지만, 변종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팬대멕이 효과적으로 통제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우려가 다시 커지면서 크루즈선사와 항공사 등 팬데믹에 민감한 기업들의 주가가 장 초반부터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지만, 9천억 규모의 신규 재정부양책을 통과시킬 예정인점은 증시에 지지력을 제공하였습니다.

* 미 부양책 합의로 연애 현금 지급을 예고되었으며, 연방준비제도가 은행에 대한 자사주 매입 중단 조치를 해제하엿고 이에 따른 자사주 매입이 허용된 은행 업종은 강세를 보였습니다.

▶변종 바이러스 또한 극복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하지만 당분간은 전염성이 높기 때문에 혼조세를 보일 것입니다만 분위기가 추스러 드는데 긴 시간은 필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 유렵(12/22 19:00기준)

 

◎ 독일 DAX30 : 13,406.93 ▲160.63 (+1.21%)

◎ 영국 FTSE100 : 6,427.57 11.21 (+0.17%)

◎ 프랑스 CAC40 : 5,454.21 ▲60.87 (+1.13%)

◎ Euro STOXX50 : 3,489.15 ▲40.47 (+1.17%)

 

* 유럽증시는 영국에서 전염성이 70% 가량 강한 신종 COVID-19가 보고되면서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성향은 다시 강ㅎ지면서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 영국은 전일 긴급 봉쇄조치를 취한 가운데, 유럽 곳곳에서 항공편 운항을 중지하면서 재봉쇄 우려가 부각되었습니다. 한편 영국-EU 간 브렉시트 무역 협상에 진전이 없었던 점도 투자심리를 악화시켰습니다. 이에 유럽 주요국 지수는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 지금까지 전망과 비슷해 보입니다. 브렉시트는 결국엔 합의, 미 부양책 합의와 백신접종으로 인한 회복이 예상이 됩니다. 하지만 브렉시트의 변화는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 아시아

 

◎ 중국 상해종합 3,356.78 ▼63.79 (-1.86%)

◎ 홍콩 항셍 26,119.25 ▼187.43 (-0.71%)

◎ 일본 니케이225 26,436.39 ▼278.03 (-1.04%)

◎ 대만 가권 14,177.46 ▼207.50 (-1.44%)

◎ 인도 SENSEX 46,006.69452.73 (-0.99%)

 

* 중국 증시는 미국과의 갈등이 이어지면서 하락하였습니다. 미 상무부는 21일(현지시간) 중국과 러시아의 총 103개(중국기업 58개) 기업을 해당국의 군과 연계된 외국회사로 지정하고 미국 상품과 기술의 수출을 제한하기로 하였습니다. 또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중국의 각종 인권 침해에 책임이 있거나 연루된 것으로 여겨지는 공산당 관리들에 대해 추가적인 비자 제한을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의회인 전국인핀대표대회가 내년에 인터넷 민영기업의 지나친 비대화를 막기 위한 반독점법 개정안을 중점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는 소식또한 하락재료로 작용하였습니다.

* 일본 증시는 COVID-19의 변종 바이러스가 촉발한 봉쇄령 우려에 1%이상 하락하였습니다. 현재 40여 개국이 영국으로부터 입국제한 조치를 내렸으며 미국은 연방정부 차원의 조치는 없지만 뉴욕주에서는 영국발 항공기 탑승객에 대한 사전 검사를 요구했다고 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변종바이러스가 백신을 부력화하는 등으로 상황을 이전으로 돌릴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을 눌렀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대만, 홍콩 증시또한 변종 바이러스로 인한 상황이 안좋아지면서 하락하였습니다.

▶ 일본은 당분간 혼조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COVID-19가 확산되면 될수록 하락은 이어지겠지만 그 폭은 제한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중국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중국이 더 어려운 점은 미국과의 갈등 때문입니다. 미국이 COVID-19대처를 하기 시작하였고 어느정도 접종이 끝나게 된다면 새로운 양상을 띌 가능성이 큽니다. 또 바이든의 대처는 어떻게 될지도 지켜봐야할 것입니다. 고로 중국 증시는 상승을 하더라도 폭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한국

 

◎ KOSPI 2,733.68 ▼44.97 (-1.62%)

◎ KOSDAQ 928.73 ▼24.85 (-2.61%)

 

* 코스피는 변이 바이러스 소식으로 그간 상승세였던 시장에서 차익실현이 나오면서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매도, 개인은 매수하였습니다. 업종은 대부분 하락하였습니다. 종이목재, 전기가스업, 건설업, 의료정밀, 의약품등이 약세를 기록하였고, 보험, 유통업만이 상승으로 마감하엿습니다. 시총순으로는 네이버를 제외한 대부분 종목이 하락하였습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현대차, 삼성SDI, 카카오, LG생활건강등 대부분 약세를 보였고 네이버만 전 거래이로가 같은 가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 코스닥 또한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매도, 개인이 매수하는 형세를 보였습니다. 시총 상위 종목이 모두 하락하였습니다. 알테오젠, 펄어비스, 셀트리온제약, 씨젠 등이 4%대의 급락하였고, 셀트리온헬스케어, 에이치엘비, 에코프로비엠, 카카오게임즈, 케이엠더블유 등은 약세를 기록하였습니다. 반면 SK머티리얼즈는 유일하게 약보ㅗ합을 보였습니다. 

▶전날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을 했습니다만 오늘부터 하락이다 라는 의미는 아니었습니다. 오늘은 단순히 조정으로 생각이 됩니다. 이렇게 혼조세를 이어 나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변종 바이러스가 잡힐 수 있는지가 관건으로 보입니다.

 

▣ 통화

 

◎ 미국 USD/KRW 1,106.50 ▼2.50 (-0.23%) 

 유럽 연합 EUR/USD 1.2227 ▼0.0015 (-0.12%)

 영국 GBP/USD 1.3412 0.0051 (-0.38%)

◎ 중국 USD/CNY 6.5427 0.0040 (-0.06%)

◎ 일본 USD/JPY 103.41 0.10 (+0.10%)

◎ 브라질 USD/BRL 5.1227 -0.0000 (+0.00%)

◎ 달러인덱스 89.94 0.01 (-0.01%)

 

* 달러화는 신종 COVID-19 재확산에 따른 우려로 상승하였습니다. 영국을 중심으로 변종이 빠르게 확산하는 가운데 노딜 브렉시트에 대한 우려로 안전자산인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강해진 것으로 보였습니다.

* 영국 파운드화는 이날 한때 2.5% 폭락하였고 보리스 존리 영국 총리가 위기에 대ㅐ응하여 비상조치를 검토중이라고 발표하면서 영국 국채 수익률이 사상 최저치로 급락하였기 때문에 파운드화는 지난 주말대비 0.31%하락하였습니다.

 

▣원자재

 

◎ WTI 47.97 ▼1.27 (-2.57%)

◎ 두바이유 49.86 0.48 (-0.95%)

◎ 브렌트유 50.91 ▼1.35 (-2.58%)

◎ 천연가스 2.71 0.01 (+0.18%)

◎ 금 1,879.20 ▼1.50 (-0.07%)

◎ 구리 7,838.50 ▼125.50 (-1.58%)

 

* 유가는 신종 COVID-19 확산에 대한 우려로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영국에서 변종 바이러스가 확산하면서 원유 시장의 불안이 급속으로 확산되었고, 영국 당국은 전염력이 더 강한 COVID-19의 변종이 확인 됐다면서, 유럽의 여러 다른 나라는 물론 캐나다와 중동 등 전세계의 다수 국가가 영국발 여행객의 입국을 긴급 차단하였습니다. 이러한 돌발 변수가 발생하면서 전세계의 이동 및 교역이 다시 타격을 받고 원유 수요도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급속 확산되었습니다. 여기사 러시아가 2월에도 OPEC+가 산유량을 하루 50만 배럴 늘리기를 원한다는 것이 알려진 점도 유가에 부담으로 작용하였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신규 부양책이 유가에 지지력을 제공하였습니다.

* 금가격은 달러 강세등의 요인으로 0.3% 하락하였습니다. 변종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안전자산인 달러의 강세로 이어졌고 이는 금값에 악재로 작용하였습니다.

▶ 일단 유가 모두 하락하였고 구리가격 또한 하락하였습니다. 이는 앞으로 혼조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조 증상으로 보입니다. 당장 어디에 투자보다는 관망하면서 각국이 어떠한 대처를 하는지 봐야할 때라고 생각이 됩니다.

반응형

'오늘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12-24 오늘의 경제  (0) 2020.12.24
2020-12-23 오늘의 경제  (0) 2020.12.23
2020-12-21 오늘의 경제  (0) 2020.12.21
2020-12-18 오늘의 경제  (0) 2020.12.18
2020-12-17 오늘의 경제  (0) 2020.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