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같이 공부합니다!

어려운 경제 금융 다같이 공부합니다!

Valuation/재무 모델링

재무 모델링 2-4

진녕이 2020. 12. 31. 15:05
반응형

오늘은 마지막으로 법인세를 추정하고 지금까지 추정한 재무제표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1. 법인세

들어가기 앞서 법인세의 계산구조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것은 소득공제를 한후 가세표준금액이 산출된다는 것과 공제후 총부담세액이 산출 된다는 것입니다.

단순해 보일수도 있지만 실무에서 은근히 착각을 많이 한다고 합니다.

 

그럼 추정으로 넘어가겠습니다.

 

A. 법인세율 테이블 작성

a. 과세 표준에 맞춰 법인세율, 지방세율, 합산세율등을 구하여 이에 맞춰 함수를 계산을 합니다.

 

B. 법인세비용 추정을 합니다.

a. 이때 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전에 채워넣었던 is 항목에서 갖고 옵니다. 참고로 이 법인세차감전순이익도 지금까지 추정했던 것들을 바탕으로 산출한 값이기에 이미 추정이 되어 있는 값입니다. 법인세차감순이익에서 합산세율을 계산하여 비용을 계산합니다.

 

C. 법인세 납부 및 미지급법인세 잔액 구하기

 

D. 간이 재무제표 채우기

a. bs항목엔 미지급법인세 is항목엔 법인세비용을 채웁니다.

b. cf를 간접법가 직접법으로 구하여 검증과정을 거칩니다.

c. bs의 현금성 자산과 이익잉여금을 구하고 대차차이를 거쳐 검증을 마칩니다.

 

지금까지 추정한 것들을 완성과 시뮬레이션을 합니다.

 

Assumption 시트를 만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시트에다가 추정한 시나리오와 굵은 is 항목, 검증결과들을 몰아 두어 한눈에 보기 쉽도록 하는 것입니다.

 

1. 아이템별 매출수량, 판매단가, 매입수량, 매입단가 등 추정 시나리오에 관련된 항목들을 몰아서 넣습니다.

 

2. 이때 검증한 결과도 같이 따옵니다.

 

3. is 항목중에서 중요한 매출액, 매출원가, 판관비, 영업이익등을 가져옵니다. 이에 따른 성장률과 매출과의 비율 등을 같이 넣으면 시나리오 변화추이에 따른 변화를 보기 쉽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추정 FS의 완성이 되게 됩니다.

 

추후 이를 이용한 valuation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복습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Valuation > 재무 모델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 모델링 3-2  (0) 2021.01.03
재무 모델링 3-1  (0) 2021.01.01
재무 모델링 2-3  (0) 2020.12.30
재무 모델링 2-2  (0) 2020.12.29
재무 모델링 2-1  (0) 202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