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같이 공부합니다!

어려운 경제 금융 다같이 공부합니다!

사례로 배우는 재무제표 분석

사례로 배우는 재무제표 분석 - 삼성가 상속세

진녕이 2021. 1. 12. 14:31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삼성 상속세관련 이슈에 관하여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작년 이건희 회장이 타계하면서 상속세율 60% 이면서 상속세가 10조라고 기사가 났습니다. 정확히 따지면 상속세율은 50% 인데 중소기업이 아닌 기업의 대주주는 20% 할증이 붙는 것입니다. 지금 이건희의 주식의 가치가 18조 인데 여기에 1.2를 곱하겠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대주주의 사망소식은 그만큼 권리금도 같이 나간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풀어서 이야기 한다면 기업가치가 150억인 회사를 인수하려 할 시 150억+@를 주게 되는데 good will 도 포함되겠지만 통상 경영권의 가치를 더했기 때문입니다. 150억+경영권을 인수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고 보통 @=기업가치의 20% 이기때문ㅇ 그렇게 계산한 것입니다. 정리를 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상속세 = (18조*1.2)*0.5(상속세율) = 10.8조

10.8조/18조 = 0.6 = 60% 기사에서 60%라고 밝힌 이유

 

이건희 별세후 갭상승한 삼성물산

 

그렇다면 왜 이건희 회장이 타계하고 상속세를 10.8조를 내야하는데 삼성관련 주가가 올랐느냐는 것입니다. 세금 납부는 기본적을 현금납부 입니다. 다만 상속세의 경우 물납을 허용합니다. 그냥 물건납부만 허용하면 기업기준 남는 재고를 가져다 줄 수 도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말이 안되고 부동산과 주식 정도로 제한을 합니다. 하지만 이방법은 이재용은 선택하지 않을 것을 보입니다. 안그래도 지배구조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삼성인데 삼성물산의 주식을 준다면 지배권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물납은 제외가 됩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삼성물산의 최대 주주이기 때문에 배당을 많이하고 주가을 올려서 판매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대감 때문에 상승 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시 상속세로 넘어오겠습니다. 약 11조원을 내야하는데 한번에 많은 금액을 내기 힘드니 연부연납 제도가 있습니다. 한번 세금을 지불하고 나머지를 5년에 걸쳐서 지불하는 방식인데 한번 지불시 1/6 정도 지불하는 셈입니다. 지금 상속세를 지불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지주회사 설립

일각에선 지주회사를 설립하려했다고 합니다. 살짝 딴길로 새자면 삼성생명을 지배권 형성시 왜 끼웠는지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견입니다만 금융기관은 자기자본이 적고 타인자본을 받아와 운용합니다. 아마 지배구조를 삼성물산지분 조금으로 레버리지를 키워 삼성전자를 지분을 매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기에 중간에 낀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대부분 지주회사를 만드는 기업은 자사주를 사모으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작년에 자사주를 소각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이방법은 신빙성이 떨어집니다.

 

2. 이건희 지분을 삼성물산에 증여

이러한 방법도 가능은 합니다만 상속세를 내고 이중과세 조정이 10%정도 밖에 안되어서 10% 더 내야하게 됩니다. 그렇게되면 주주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입니다. 안그래도 대신 내는 것도 화나는데 세금을 더내면 들고 일어설 것이 훤히 보이기 때문입니다.

 

3. 주식담보대출

LG의 구광모회장이 이방법을 사용 하였습니다. 담보대출을 받아 연부연납하는 방식입니다. 현재 제일 합리적인 방법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금리도 낮은 시점이기에 이자에 대한 부담도 적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당장은 급한 불을 끄지만 빌린 돈이기에 어떻게 해서든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은 변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 오리무중입니다만 지금 특별배당확대한다는 이야기만 나오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밝혀진 것도 없고 3번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새로운 기가막힌 방법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건희의 주식가치가 18조라고 밝혔는데 이는 돌아가신날을 기점으로 전후 2개월 종가를 평균내어서 사용하기에 지금같은 상승장에선 더욱 올라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 보험사가 계열사 지분을 자산중 3%이상 소유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강 삼성전자 지분을 8% 갖고 있는 데 5%가량을 팔아야 하기도 합니다. 이를 Overhang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것도 두고봐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