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같이 공부합니다!

어려운 경제 금융 다같이 공부합니다!

오늘의 경제

2021-02-18 오늘의 경제

진녕이 2021. 2. 18. 21:27
반응형

▣ 미국(02/17)

 

 DOW : 31,613.02 ▲90.27 (+0.29%)

 S&P500 : 3,931.33 ▼1.26 (-0.03%)

 NASDAQ : 13,965.50 ▼82.00 (-0.58%)

 

* 뉴욕 증시는 미국 소비 호조에도 국채 금리 상승에 대한 경계가 심해지면서 혼조세를 이루었습니다.

* 상무부는 1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5.3% 급증했다고 발표하였고, 4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는데 미국 연초 개인당 600달러 현금 지원 등 정부의 부양책에 힘입어 대폭 개선된 것으로 보입니다.

*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기술주를 중심으로 주가의 벨류에이션에 대한 부담이 커질 것이란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애플과 넷플릭스등 주요 기술기업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각각 1.8%, 1.1%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 업종별로는 기술주가 1.03% 하락하며 부진하였고, 국제유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에너지주는 1.45% 상승 금리 상승등으로 금융주도 0.36% 상승하였습니다.

▶ 금리 상승 추세가 쉽게 꺾이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전에는 일시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였는데 경제상황이 조금씩 나아지면서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고 있습니다. 금리상승과 부양책후 흔들릴 양상을 생각한다면 주식의 비중을 줄이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 유럽(02/18 19:00 기준)

 

◎ 독일 DAX30 : 13,924.86 15.59 (+0.11%)

◎ 영국 FTSE100 : 6,690.30 ▼20.60 (-0.30%)

◎ 프랑스 CAC40 : 5,753.51 ▼12.33 (-0.21%)

◎ Euro STOXX 50 : 3,697.62 ▼2.23 (-0.06%)

 

* 유럽 증시는 미 금리 인상에 대한 경계심과 지금까지 상승했던 것의 차익실현으로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 미 국채 금리 상승과 인플레이션 경계감이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연일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한 가운데 EU의 COVID-19 백신 3억회분을 추가 구매 계약 소식에 하락폭은 제한되었습니다.

* 전일의 영향으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금리 상승이 지속되는 와중에 주식 비중을 줄여나가는 움직임으로 보이고 추천하고 있습니다. 부양책 이후 움직임을 보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아시아

 

◎ 중국 상해종합 3,675.36 ▲20.27 (+0.55%)

◎ 홍콩 항셍 30,595.27 ▲489.67 (-1.58%)

◎ 일본 니케이225 30,236.09 ▼56.10 (-0.19%) 

◎ 대만 가권 16,424.51 ▲62.22 (+0.38%)

◎ 인도 SENSEX 51,303.58 ▼400.25 (-0.77%)

 

* 중국 증시는 연휴동안 쌓였던 경기회복기대가 한번에 반영되면서 2%대 상승폭을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구리가격과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천연자원 및 에너지 업종이 상승세를 견인하였습니다. 이후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상승폭을 줄여나갔습니다. 

* 일본 증시는 기술주 약세의 영향으로 하락하였습니다. 간밤에 나스닥이 하락하였고 이 영향으로 일본 기술주를 매도 하는 움직임이 나타났습니다. 다만 최근 분위기가 좋아 저가 매수세의 등장으로 하락폭은 크지 않았습니다.

중국 증시는 기대감과 금리 상승의 힘겨루기가 진행되고 있지만 중국이라는 나라는 성장 포텐셜이 아직 남아있기 때문에 당장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일본 증시는 금리 상승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당분간은 혼조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 한국 

 

◎ KOSPI 3,086.66 ▼47.07 (-1.50%)

◎ KOSDAQ 967.42 ▼12.35 (-1.26%)

 

* 코스피는 최근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로 하락으로 출발하였습니다. 변이 바이러스와 아시아 증시의 혼조에 기관과 외국인 동반 매도세가 출회하면서 2일 연속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개인이 1.5조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이 8600억, 6100억 순매도 하였습니다. 업종별로는 섬유의복, 비금속광물 상승 종이목재, 운송장비, 의료정밀, 전기전자, 운수창고, 의약품, 건설업, 의식료품 순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는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기아차, 셀트리온, 삼성SDI, 네이버등이 하락하였습니다.

* 코스닥은 전일 나스닥 지수 약세에도 강보합으로 출발하였으나 외국인과 기관이 IT및 통신방송업 위주로 순매도 하면서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개인이 2100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이 1100억 700억 순매도 하였습니다. 업종별로는 정보기기, 반도체, 유통, 통신서비스 등이 하락하였습니다. 시총순으로는 씨젠, 펄어비스 상승 불공정 거래 의혹이 제기되었던 에이치엘비(그룹), SK 머티리얼즈,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알테오젠, 카카오게임즈 등도 하락하였습니다.

금리의 상승이 이어지다가 살짝 소강상태에 들어가기는 하였습니다. 다만 상승 추세인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이에 당장은 주식시장이 소강상태로 들어갈 확률이 높기에 단기적으로는 주식의 비중을 줄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이후 부양책 이후 추세를 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 통화(02/18 20:30기준)

 

◎ 미국 KRW/USD 1,107.00 0.50 (-0.05%) 

 유럽 연합 EUR/USD 1.2071 0.0035 (+0.29%)

 영국 GBP/USD 1.3941 0.0088 (+0.64%)

◎ 중국 USD/CNY 6.4685 0.0143 (+0.22%)

◎ 일본 USD/JPY 105.69 0.17 (-0.16%)

◎ 브라질 USD/BRL 5.4108 0.0003 (+0.01%)

◎ 달러인덱스 90.94 0.44 (+0.49%)

 

* 달러화는 미 국채수익률을 주시하면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달러 인덱스는 상승으로 마감하였습니다.

* 미 국채금리가 1.3%에 육박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빠르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외환시장도 글로벌 경제가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 인플레이션 상태로 전환하는 리플레이션에 이를 것으리는 생각이 퍼지고 있습니다.

* 안전통화인 일본 엔화는 미 국채 수익률의 상승으로 달러화대비 5개월만에 최저수준까지 하락하기도 하였습니다. 수익률 상승 등으로 실질 수익률이 높아진데 민감하게 반응한 결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 옵션 시장에서도 엔화 약세에 베팅하는 조심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달러 강세에 베팅하는 단기 달러 콜옵션이 하락에 베팅하는 풋옵션보다 비싸졌고, 1주일 리스크 리버셜 스프레드는 거의 5년만에 처음으로 달러 콜옵션에 우호적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 달러화는 유로화에 대해서도 강세 흐름을 재개하고 있습니다.

달러 약세를 생각했는데 강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긍정적인 소식의 영향으로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부양책 이후에 하락으로 반전할지 그대로 흐름을 이어갈지 두고봐야할 사안으로 보입니다.

 

▣원자재

 

◎ WTI 61.14 ▲1.09 (+1.81%) 

◎ 두바이유 60.89 0.29 (+0.48%) 

◎ 브렌트유 64.34 ▲0.99 (+1.56%) 

◎ 천연가스 3.22 0.09 (+2.87%)

◎ 금 1,771.10 ▼26.10 (-1.45%)

◎ 구리 8,413.50 26.00 (-0.31%)

 

* 유가는 기록적인 한파의 영향과 유전지대의 생산 차질에 계속해서 상승중으로 보입니다. 씨티그룹과 ANZ 등은 최소 하루 200만 배럴의 셰일 원유 생산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하였고 3월초까지 누적 생산 손실도 1600만배럴에 이를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유가 급등으로 OPEC+의 원유생산이 늘어날 수 있다고 하면서 유가 상승을 제한 하였습니다.

* 금가격은 달러 강세와 미 국채 금리 상승이 이어지면서 최근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유가가 하락할 재료가 없어서 당분간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계절적인 이유가 주요 상승원인이기에 날씨가 풀리기 시작하고 추이에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 가격은 달러 강세와 금리 상승이 강해지고있는 와중에 부양책의 영향을 보고 더욱 떨어진다면 매수도 괜찮아 보입니다. 

 

▣경제캘린더

 

▣ 전일 미국 증시 요약

 

▣ 세계 증시 요약

 

 

반응형

'오늘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2-22 오늘의 경제  (0) 2021.02.22
2021-02-19 오늘의 경제  (0) 2021.02.19
2021-02-17 오늘의 경제  (0) 2021.02.17
2021-02-16 오늘의 경제  (0) 2021.02.16
2021-02-15 오늘의 경제  (0) 2021.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