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같이 공부합니다!

어려운 경제 금융 다같이 공부합니다!

Valuation/M&A

M&A 시장접근법 -1

진녕이 2021. 1. 18. 14:33
반응형

지난시간에는 이익접근법의 대표적인 방식인 DCF를 공부하였습니다.

 

이번시간부턴 시장접근법인 상대가치평가법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상대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선 일단 리서치를 하여야 합니다. 내가 평가할 기업을 리서치를 통하여 산업정보, 시장정보 재무정보 등을 수집한 후 내가 평가할 기업과 유사한 기업을 선정해야 합니다. 유사 기업을 선정함에 있어서 어떤 기준으로 유사기업을 가려낼지가 중요포인트입니다. 기준으로 유사한 제품을 판다거나 사업의 규모가 비슷하다거나 이러한 것들이 있습니다. 다음 유사기업과 평가하고자 하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분석하여 적용하기 가장 적절한 멀티플을 결정합니다. 이후 평가하는 대상 기업에 멀티플을 활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산정합니다.

 

모델링을 함에 있어서 가장정확한 모델을 적용한다고 하여도 상대가치의 고유의 한계때문에 당면한 문제점이 있습니다. 바로 기업의 특수성을 반영하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상장기업의 경우 여기는 직접 보고서를 쓰는 입장이 아니니 애널리스트의 보고서를 참고하는 것입니다. 비상장기업의 경우는 어쩔 수 없이 실무처럼 홈페이지, 기업탐방, 전화를 통한 면담 등등이 있습니다. 참고로 애널리스트 보고서는 한경컨센서스 홈페이지를 통해 참고할 수 있습니다.

 

상대평가할 기업 - 셀트리온

셀트리온을 가지고 상대가치평가를 해보겠습니다.

 

우선 셀트리온의 사업 보고서를 통해 사업의내용을 참고하여 어떤 기업인지 정보를 찾습니다. 들어가면 기업의 소개, 방향성 등등이 나와있습니다. 또 내려가면 매출실적이 나와있는데 분석하기에 좋은 정보 입니다.

사업 내용의 예시
셀트리온 매출 실적

이렇게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들을 바탕으로 유사기업을 찾습니다. 유사기업은 크게 2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는데, 1. 유사 상장회사비교법 2. 유사 거래 비교법인데 2의 경우 어디 증권사나 운용사 같은 경우 유료서비스로 데이터를 받아 볼 수 있지만 개인을 그러기 힘듭니다. 그러면 1번으로 평가를 내려야 합니다. 그러면 그 데이터를 어디서 뽑아 내냐면 한국거래소에서 뽑을 수 있습니다. 거기서 업종을 가려냅니다. 그러면 130여개의 기업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중요도 순으로 비교를 해보아야 합니다. 보통은 시총으로 중요도 순을 정합니다. 그렇게 또 거래소에서 자료를 찾고 시총자료를 찾아내서 시총순으로 정리 거기서 유사 기업을 찾아내면 됩니다.

셀트리온 유사기업

여기서 사업보고서, 홈페이지 등등 자료를 참고하여 유사기업을 찾아내면 됩니다. 이렇게 오늘은 유사기업까지 찾아내 보았습니다. 참고로 거래소에서 자료 찾는 것은 정보데이터시스템에서 기본통계 거기서 주식탭에서 전종목시세, 세부내용에 상장회사상세검색등등 활용하면 됩니다.

오늘 복습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Valuation > 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 시장접근법 -2  (0) 2021.01.20
M&A 이익접근법 - 4  (0) 2021.01.15
M&A 이익접근법 -3  (0) 2021.01.13
M&A 이익접근법 -2  (0) 2021.01.11
M&A 이익접근법 -1  (0) 2021.01.08